본문 바로가기
IT스타트업

협업툴 비교: 슬랙(Slack), 카카오워크, 잔디(JANDI)

by ***(**!* 2025. 1. 1.

스타트업을 운영하다보면, 소통과 업무의 한계가 이상 카카오톡으로는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느끼는 때가 온다. 

프로젝트가 여러 개가 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업무 회의록, 자료를 관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카카오톡으로 하는 업무 소통은 한계가 있어 오늘은 스타트업들이 많이 사용하는 업무툴(협업툴)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리하였다.

 

이제 우리도 스마트하게 업무처리를 해봐야지😎

 


 

협업툴은 현대 업무 환경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다. 이중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3가지 정도로 후보를 정하고, 조사해보았다.

슬랙, 카카오비즈니스, 잔디 이렇게 3가지 협업툴을 바탕으로 선정하기로 하였다. 

 

슬랙, 카카오비즈니스, 잔디 각각 독특한 기능과 장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조직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아래에서 가지 협업툴의 특징, 장단점, 적합한 조직 유형, 그리고 가격까지 비교해 보았다.

 

1. 슬랙(Slack)

 

 

특징

  • 클라우드 기반 협업툴로 실시간 채팅, 파일 공유, 프로젝트별 채널 구성 가능.
  • 2,600개 이상의 외부 앱과 통합 가능(Trello, Google Drive 등).
  • 허들(화상회의), 캔버스(문서 작업), 클립(화면 녹화) 등 다양한 소통 기능 제공.

장점

  • 강력한 통합성: 다양한 앱과 연동되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 채널 중심 구조: 프로젝트별 대화와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 가능.
  • 글로벌 협업: 외국 기업 및 글로벌 팀과의 소통에 강점.

단점

  • 무료 버전에서는 메시지 기록이 90일로 제한됨.
  • 대규모 팀에서는 채널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음.

적합한 조직

  • 글로벌 팀이나 다양한 툴을 활용하는 IT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 실시간 소통과 다국적 협업이 중요한 조직.

 

슬랙 가격 표 @slack 사이트

 

 

가격

  • 무료 플랜: 기본 기능 제공(90일 메시지 기록 제한).
  • 프로 플랜: 사용자당 월 $4.38(연간 결제 기준).
  • 비즈니스 플러스 플랜: 사용자당 $15(연간 결제 기준).

 

2. 카카오워크

 

  • 특징장점
    • 높은 접근성: 카카오톡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로 익숙한 ui, 카카오톡과의 연동.
    • 다양한 기능 제공: 화상회의, 근태관리, 전자결재 등 업무 전반을 지원.
    • 보안 강화: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제한 등 강력한 보안 기능.
    단점
    • 글로벌 협업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
    • 프로젝트 관리 기능은 상대적으로 부족.
    • 상대적으로 업무툴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느낌.
    추천 대상
    • 국내 고객 소통과 내부 업무 관리를 원하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 카카오톡에 익숙한 사용자 기반의 조직.
    가격
    • 무료 플랜: 기본 기능 제공(공용 저장공간 5GB).
    • 스탠다드 플랜: 사용자당 월 6,500원(연 단위 결제 기준). * 아래 이미지는 월단위결제 기준
    • 프리미엄 플랜: 사용자당 9,900( 단위 결제 기준). * 아래 이미지는 월단위결제 기준

     
  • 카카오워크는 카카오톡 기반의 업무용 메신저로, 메신저 외에도 워크보드, 캘린더, 전자결재 등 다양한 업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관리자의 역할과 관리 기능이 중요하다면 카카오워크를 추천

카카오워크 월간 요금제 가격표 @카카오워크


 

3. 잔디(JANDI)

 

 

특징

  • 한국에서 개발된 협업툴로 실시간 채팅, 파일 공유, 주제별 대화방 구성 가능.
  • 스마트 검색 기능으로 과거 메시지와 파일을 손쉽게 찾을 수 있음.
  • 화상회의 및 Zoom 연동 지원.
  • 메신저 기반의 협업툴, 카카오톡이 익숙하다면 추천

장점

  • 현지화된 서비스: 한국 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 제공.
  • 저렴한 가격: 경쟁사 대비 합리적인 요금제.
  • 워크라이프 밸런스 지원: 알림 시간 설정 및 부재중 설정 가능.

단점

  •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에는 상대적으로 약함.
  • 프로젝트 관리 기능이 부족할 수 있음.

적합한 조직

  • 국내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 빠른 내부 소통과 자료 관리가 중요한 팀.

가격

  • 무료 플랜: 소규모 팀에 적합.
  • 프리미엄 플랜: 사용자당 월 5,000원(20명 이상 팀 추천).
  • 엔터프라이즈 플랜: 사용자당 9,000(대규모 조직 대상).

잔디 가격표 @협업툴 잔디

 


 

4. 협업툴 슬랙, 카카오워크, 잔디 가격 비교

 

무료 플랜 유료 플랜 (기본) 유료 플랜 (고급)
슬랙 메시지 기록 90 제한 사용자당 $4.38 사용자당 $15
카카오워크 공용 저장공간 5GB 제공 사용자당 6,500원(년간결제) 사용자당 9,900원(년간결제)
잔디 소규모 무료 사용자당 5,000 사용자당 9,000

 

 

5. 협업툴 슬랙, 카카오워크, 잔디 결론 및 추천

 

1. 슬랙(Slack)

적합한 조직

  • 글로벌 팀이나 다양한 툴을 활용하는 IT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 실시간 소통과 다국적 협업이 중요한 조직.
  • 구글 캘린더, 노션 등 다양한 협업툴과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IT 조직처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야하는 조직에게는 특히 추천.

2.카카오워크(Slack)

 

적합한 조직

  • 국내 고객 소통과 내부 업무 관리를 원하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 카카오톡에 익숙한 사용자 기반의 조직.
  •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한 조직에 특히나 추천.

 

3.잔디(JANDI)

 

적합한 조직

  • 국내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 빠른 내부 소통과 자료 관리가 중요한 팀.
  • 메신저형 협업툴이라 사용하고 익히기가 편한 장점이 있음. 


각각의 협업툴은 고유의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으니 조직의 특성과 요구 사항에 맞게 선택하면 좋을 거 같다. 😊

 

6. 우리 조직의 사용후기 : 슬랙(Slack)

 

우리팀은 슬랙으로 협업툴을 결정하였다. 그 이유는 IT개발 특성상 다양한 협업툴을 동시에 같이 써야하고, 프로젝트별로 관리가 용이할 수 있어 슬랙으로 정하고, 90일 평가판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사용하고 난 결과 후기는 다시...

반응형